발렌타인 21년이 제일 무난하다 생각하고, 느낌상 아직은 발렌타인과 로얄 살루트가 확실한 투톱체제를 형성하는거 같다 실론티 혹은 토닉워터를 같이 타서 먹곤 합니다 파이니스트, 마스터즈, 12년, 17년, 21년, 30년 등 다양한 시리즈가 있고 에이지(age)는 오크통 숙성 기간 기준이다 최근 대형마트에서도 판매되고 있는 제품이다 그만큼 양이 줄어들기에 가격이 확 높아지는 것이지요 한국인들에게 가장 사랑받는 발렌타인이네요 그 이유는 술도 음식과 같아서 이렇게 다양한 종류의 술의 나온 이유는, 면세점 가격의 서너배가 되는 건 기본이랍니다 에 대해서 조금 안다는 사람들에게 발렌타인 를 사다 드려도 Grain wisky(그래인 위스키) : 보리 이외의 재료 사용 숙성을 오래시키면서 관리하는 비용도 많이 들지만 American Whisky(아메리칸 위스키) : 미국은 주로 버번,테네시와같은 지역명칭으로 술에 표기하며 주원료는 옥수수이다 하지만 막역하게 지내고 있는 사람에게 선물이나 2병 구매시에 30프로 할인하는 이벤트가 각 공항마다 자주 있으니 이점을 감안하셔야되네요 기념품으로 주게 된다면 이것을 고르는 것이 풍미가 자극적이지 않은 것이 장점이네요 위스키의 원료는 맥주와 정말 비슷한데, 간단하게 말해서 홉(맥주의 향을 담당)빠진 맥주를 증류시켜 동대문 등 고수들만의 루트가 있겠지만 일반적인 마트 가격은 17~18만원으로 가정하면 될 것 같아보이네요 Blended whisky(블랜디드 위스키) : 싱글몰트 위스키 + 그래인 위스키 국내에서 를 사게 되면 관세와 주세 교육세까지 부담을 해야되고 바같은 곳에서 마신다면 13%나 되는 교육세와 개별소비세가 추가된다고 해요 게다가 10%의 부가가치세와 매장의 자체 마진까지 합하면 동급연수 싱글몰트 위스키인 발베니 21년, 가지 위스키라고 다 같은 위스키는 아닙니다 Irish Whisky (아이리시 위스키) : 아일랜드산 위스키 글렌피딕 21년에 비해 가격은 싸다고 할수 있겠다 즉 여기서 말하는 위스키의 21년산은 이 오크통에서 21년 숙성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전에는 면세점이 공항 출국장에만 있었는데 공항 입국장 면세점이 운영되면서, 입국장/출국장 구분도 필요할 것 같아보이네요 Single Malt Whisky(싱글몰트 위스키) 한 증류소에서 100% 보리(맥아)를 사용하여 만든 위스키 사 오는 것 중 늘 빠지지 않는 건 바로 술, 오크통(참나무통)에 숙성시킨 술이라고 보시면 되네요 저희집에는 아버님이 선물로 받은 위스키가 많은데요 하지만 양이 줄어드는 만큼 남아있는 위스키의 풍미가 높아지고 그 퀄리티가 상승하게 되는 것 이네요 저는 술을 거의 안 마신다고 해도 될 만큼인데 생각보다 위스키를 즐기시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그중 가장 무난한 게 17년산이지만 이런 데서는 성숙미 있는 걸 사줘야 한다고 결국 가장 가성비 좋은 이자 선물은 면세점에서 양주를1병씩 사오는게 아닐까 합니다
카테고리 없음